에티오피아여행13 [14] 종교로 구분하는 정육점 종교로 구분하는 에티오피아 정육점아디스아바바 Addis Ababa 동북쪽, 오로미아주 Oromia state 의 레가다포 Lagadafo City 와 경계를 이루는 지역에 정육점이 밀집한 거리가 있습니다. 작고 허름한 정육점이 줄지어 붙어있는데 환한 전구를 많이 켜놔서 자연스레 눈길이 갑니다.에티오피아의 종교는 정교회와 이슬람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데,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도 돼지고기를 잘 먹지 않습니다. 한인식당이나 중국식당을 가야 돼지고기를 먹을 수 있을 정도죠. 눈에 보이는 현지 정육점은 대부분이 소고기와 양고기를 판매합니다.이슬람교는 '할랄'이라는 방식에 따라 도축을 하고, 정교회 역시 종교 규율에 따라 도축을 하고 고기를 팔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유로 정육점도 구분이.. 2025. 10. 19. [13] 에티오피아의 햄버거 가게들 에티오피아 사람들과 햄버거에티오피아 사람들은 햄버거를 그리 좋아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세계적인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들어와 있지 않고, 에티오피아 로컬 브랜드와 독립 햄버거 가게들이 몇몇 있는 정도입니다. 쉽게 볼 수 있는 햄버거 체인점으로 치킨헛 Chicken Hut 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냥 이름만 봐도 피자헛에서 이름을 따 왔구나 생각할 수 있죠. 피자헛이 에티오피아에 들어와 있는데 유명한 에드나몰 뒤편에 지점이 있습니다. 볼레공항 면세구역에도 몇 년 전 버거킹과 함께 피자헛 매장이 입점하기는 했습니다. 치킨 헛자주 머물던 숙소가 있는 경전철 1호선 하야훌렛역 근처 겟팜호텔 앞에 치킨헛이 있습니다. 몇몇 종류의 햄버거도 팔고 조각 피자도 판매합니다. 햄버거와 감자튀김, 콜라를 주문했습니다... 2025. 10. 18. [12] 중국과 에티오피아 경제적 친구인 중국과 에티오피아중국과 에티오피아는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입니다. 많은 국가들이 개발도상국이라 부르는 후진국들에게 원조를 베풀고 자금을 지원합니다. 미국의 US AID, 일본의 JICA, 우리나라의 KOICA도 '국제협력'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시설과 교육, 보건 등을 지원합니다. 또 실물 대신 돈을 지원하는 'EDCF'라는 지원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국가의 선행이 아닌, 개발도상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자국의 이익을 확대하는 정책입니다. 중국 자본으로 건설하는 사회 인프라중국도 막강한 자본력으로 에티오피아에 뿌리를 내렸습니다. 아디스 아바바의 멋진 건물들은 대부분이 중국자본을 섞어 지은 것들입니다. 그래서 건설 중인 빌딩 앞의 안전 펜스에 아프리카에서는 낯선 중국 한자를 어렵지.. 2025. 10. 18. [11] 에티오피아? 비행기만 보면 선진국 비행기만 보면 항공 선진국아디스아바바 볼레국제공항에 도착해 창 밖을 내다보면 공항을 가득 메운 비행기에 살짝 놀라게 됩니다. 극빈국으로 꼽히는 에티오피아에 무슨 좋은 비행기가 이렇게 많을까 생각이 들죠. 그런데 에티오피아항공은 1946년 첫 비행을 시작한 아프리카의 대표적인 항공사입니다. 우리나라가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난 광복 다음 해, 에티오피아에는 항공사가 생긴 것이죠. 후진국이라면 오래된 비행기가 많을 것 같지만, 에티오피아항공은 그렇지 않습니다. 에어쇼가 열리면 새로운 기종을 수십대씩 사들이고, 보잉787 드림라이너 같은 신형 비행기는 우리나라 항공사보다 먼저 도입하기도 합니다. 인천과 아디스 아바바를 오가는 비행기 역시 대한항공보다 먼저 보잉787 드림라이너를 일찌감치 사용하고 있었고 지금은 .. 2025. 10. 18.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