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기방랑

생기방랑37

부산 나들이 - 영도에 남은 옛 흔적을 찾아서 영도 남항시장 바깥입니다. 길 건너편으로 오래된 건물이 보입니다. 얼마 전까지는 대중목욕탕이었군요. 목욕탕 이름은 문화탕이었네요. 1층에는 다른 매장들이 들어와 있고 목욕탕은 영업을 안 하는지 셔터가 내려져있습니다. 영도구는 말 그대로 섬이기 때문에 해안선부터 산 꼭대기까지 평지가 거의 없는 경사진 지형을 갖고 있습니다. 섬의 밑부분이자 바다와 닿아있는 남항시장 근처가 그나마 평지를 이루고 있죠. 봉래산을 바라봐도 곳곳이 경사진 오르막입니다. 큰 길가는 다른 동네 번화가와 다를 바가 없어 골목 안으로 들어가봅니다. 요즘 영도에는 새로 지은 예쁜 아파트가 많은데 주택가에는 비교적 근래에 지은 집들, 지은지 아주 오래된 집들이 뒤섞여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일본에서 돌아온 사람들, 한국전쟁 때 피난.. 2025. 3. 22.
부산 나들이 - 바다 건너 영도로 부산 영도로 나들이를 갑니다. 영도는 하나의 섬으로 부산광역시 영도구를 이루고 남포동 중앙동 같은 부산의 원도심과는 다리로 연결됩니다. 영도의 높은 산 봉래산 꼭대기에는 방송국 송신소들의 안테나가 있습니다. 오래 전에는 남포동과 영도 사이에 연락선 같은 배가 있어 동전 하나를 내고 바다를 건너다녔다고 하죠. 지금은 영도대교와 부산대교, 2개의 다리가 원도심과 영도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영도대교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었는데 그 때도 다리 일부를 들어올려 큰 배가 지나다니던 도개교였습니다. 지금은 매주 토요일에 한 번 다리를 올리는 이벤트를 하고 있죠.영도에는 일제강점기 조선소가 들어섰는데 배를 수리하는 소리가 '깡깡'하고 들려 이 부근을 깡깡이 마을이라고 불렀습니다. 배를 새로 만드는 신조선보다.. 2025. 3. 1.
중국과 에티오피아 경제적 친구인 중국과 에티오피아중국과 에티오피아는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입니다. 많은 국가들이 개발도상국이라 부르는 후진국들에게 원조를 베풀고 자금을 지원합니다. 미국의 US AID, 일본의 JICA, 우리나라의 KOICA도 '국제협력'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시설과 교육, 보건 등을 지원합니다. 또 실물 대신 돈을 지원하는 'EDCF'라는 지원방식도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국가의 선행이 아닌, 개발도상국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자국의 이익을 확대하는 정책입니다.  중국 자본으로 건설하는 사회 인프라중국도 막강한 자본력으로 에티오피아에 뿌리를 내렸습니다. 아디스 아바바의 멋진 마천루 건물들은 대부분이 중국자본이 섞여 지어진 것들입니다. 그래서 건설 중인 빌딩 앞의 안전 펜스에 아프리카에서는 낯선 중국 한자.. 2025. 1. 28.
대충대충 부산 여행 - 부산진시장 범일동 전국 3대 혼수 전문시장부산진시장 주변 풍경입니다. '부산진'이라는 이름은 바로 옆 '부산진성(釜山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부산진시장은 서울 남대문시장, 대구 서문시장과 함께 전국 3대 혼수 전문시장으로 이름을 떨쳤었죠. 부산사람들은 '부산진'에서 '부산'을 빼고 말하죠. 부산진구는 진구, 부산진구 구청은 진구청, 부산진시장도 진시장이라 부릅니다. 조선방직의 흔적 - 조방앞진시장 주변 지역에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 미쓰이그룹이 '조선방직' 이라는 대규모 방직회사를 세웠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조선방직을 '조방'이라 불렀고 조방이라는 이름이 지금까지 내려와 부산진구 범일동 일대를 '조방 앞'이라고 부릅니다. 부산의 음식으로 꼽는 낙지볶음 역시 '조방낙지'라는 상호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인터넷에서 .. 2024. 10. 13.
반응형